전체 글

Web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기타
TDD 매우 짧은 개발 사이클을 반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중 하나이다. 개발자는 먼저 요구사항을 검증하는 자동화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그런 후에, 그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작성한 코드를 표준에 맞도록 리팩토링한다. - 위키백과 사전 - TDD 방식 vs 일반적인 방식 1. 일반적인 방식 2. TDD 방식 ex) 작가가 글을 쓰는 방법을 비유 1. 목차 구성 ---------> 테스트 코드 작성 2. 초안 작성 ---------> 코드 개발 3. 고쳐 쓰기 ---------> 코드 수정(리팩토링) 즉, 반복적인 검사와 고쳐쓰기를 통해 좋은 글이 완성되는 것처럼, 이러한 방법을 소프트 웨어에 적용한 것이 TDD 방식이다. TDD 장점 1. 작업과..
시스템버스 하드웨어들이 데이터 및 신호를 주고 받는 물리적인 통로 시스템 버스의 종류 1. 데이터 버스 가. 중앙처리장치와 기타장치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이다. 나.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명령어를 중앙처리장치로 보내거나 중앙처리장치의 연산결과를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로 보내는 "양방향" 버스이다. 2. 주소버스 가. 데이터를 정확히 실어나르기 위해서는 기억장치의 "주소"를 정해주어야 한다. 나.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로 기억장치주소들을 전달하는 통로이며 "단방향" 버스이다. 3. 제어버스 가. 주소버스와 데이터버스는 모든 장치에 공유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할 수단이 필요하다. 나. 제어버스는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이며, "양방향" 버스이다. 시스..
*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 간추려서 정리하였습니다.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시스템버스는 각각의 큰 주제를 만들어 따로 기록할 예정입니다. 컴퓨터 구성 1. 하드웨어 가. 중앙처리장치(CPU) 나. 기억장치 1) 주 기억장치(RAM) 2) 보조 기억장치(HDD, SSD, DISK 등) 다. 입출력 장치 1) 마우스 2) 프린터 3) 키보드 2. 소프트웨어 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1) 운영체제 2) 컴파일러 나. 응용 소프트웨어 1) 워드프로세서 2) 스프레드시트 하드웨어 하드웨어: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스템 버스를 통해 데이터 및 주소 등을 서로 전달한다. 1. 중앙처리장치(CPU)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이진검색트리(BST) 정의 1. 이진 탐색(binary search)와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결합한 자료구조이다. * 이진 탐색: 탐색 범위를 두 부분으로 분할 하면서 찾는 자료구조, 삽입 및 삭제는 불가능, 보통 배열로 구성 2. 이진 탐색의 효율적인 탐색능력을 유지하면서, 자료 삽입(Insert)과 삭제(Delete)를 가능하게끔 고안되었다. 이진검색트리 특징 1. 트리의 모양은 상관 없으며 이진트리여야 한다. 2. 부모노드의 값을 중심으로 왼쪽 자식 트리의 값은 작고, 오른쪽 자식 트리의 값은 커야한다. 3. 중복된 노드는 없어야 한다. 4. 이진 탐색트리는 중위 순회를 통해 순회를 진행한다. -> 이진 검색트리 내에 있는 모든 값들을 정렬된 순서대로 읽을 수 있다. 중위 순회 결과..
Santos
Santos의 개발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