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Computer science)

등장 배경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어떠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과 필요한 데이터가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야한다. 주기억장치의 용량은 크면 클수록 좋은데, 충분한 기억용량을 가진 주기억장치는 비싸기 떄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커다란 단점이 존재하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가상기억장치이다. 가상기억장치보조 기억장치와 같이 기억용량이 큰 기억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  1. 가상기억장치의 목적주기억장치의 기억용량이 부족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트당 가격과 기억용량이 보조기억장치와 같으며, 속도가 주기억장치와 같은 기억장치를 제공받는 것이다.  2. 가상기억장치 개념도 중앙처리장치가 접근하려는 정보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더라도 주기억장치에 대한 접근을 통..
작업(Job) / 프로그램실행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합친 것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 요청 전의 상태를 말한다. 프로세스(Process)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시스템(커널)에 등록되고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커널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를 말한다. 각종 자원들을 요청하고 할당을 받을 수 있으며,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라고도 불리운다.  자원커널의 관리하에 프로세스에게 할당되거나 반납되는 수동적인 개체를 말한다.  PCB(Process Control Block)OS가 프로세스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간으로써 프로세스가 생성시 동시에 만들어진다. PCB안에는 하나의 프로세스의 정보가 담긴다. 1. PCB에 저장되는 정보(Process Metadata) 가. PID(Process Identificati..
프로세스 스케줄링 - CPU를 사용하려고 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우선순위를 관리하는 일이다. - CPU가 쉬지 않고, 계속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로고 효율적인 계획을 잡아주는 것이다.  스케줄링의 목적  1. 시스템의 성능 향상  가. CPU 처리율과 이용률 증가  나. 오버헤드 최소화   다. 응답시간, 대기시간, 반환시간 최소화  2. 목적에 맞는 지표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기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  스케줄링 기준 1. 우선순위 ex) CPU Burst vs IO Burst(I/O 사용시간) 2. 긴급성  3. 특성  스케줄링 단계  1. Long-term 스케줄링  어떤 프로세스를 커널에 등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스케줄링 2. Mid-term 스케줄링  어떤 프로세스에게 메모리를 할당할 것인가를 결정..
제어장치-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읽어 와서 연산코드부분을 해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 내의 각 요소에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명령을 수행한다.- 특정한 데이터 연산을 실행할 수 있도록 처리장치에 마이크로 연산을 구동시키는 여러가지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제어장치 구성1. 제어장치와 처리장치의 관계  - 제어장치는 외부 입력신호인 컴퓨터 명령어를 받아들여 이 신호에 해당하는 마이크로연산을 처리장치로 내보낸다.  - 처리장치에서는 마이크로연산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여 데이터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으로 내보낸다.  - 처리장치에서 제어장치로 보내지는 상태신호는 처리장치에서의 연산결과로 나타낸 상태인데, 분기나 조건판단 등을 위한 판단기준을 제공해 주는 신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