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Computer science)

인터럽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여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 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기존에 작업을 계속 처리하는 것 인터럽트 종류 CPU 하드웨어 신호에 의해 외부/내부 인터럽트로 나뉜다. 1. 외부 인터럽트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 주로 입출력 장치에 의해 발생된다. 가. 입출력 장치 나. 타이밍 장치 2. 내부 인터럽트 컴퓨터 내부에서 잘못된 명령어나 데이터를 사용할 떄 발생 가. 하드웨어 고장 - 컴퓨터 고장 -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의 비트 오류 - 전원이 나간 경우 나. 실행할 수 없는 명령어 - 기억장치에서 인출한 명령어의 비트 패턴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 명령어 실행 오류 라. 사용 권한 위배 ..
Context Switch (컨텍스트 스위치) - 수행중인 프로세스를 변경할 때, CPU의 레지스터 정보가 변경되는 것. -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Context Saving)하고 복원(Context Restoring)하는 과정 - 동작 중인 프로세서가 대기하면서 해당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관하고, 대기하고 있던 다음 순번의 프로세스가 동작하면서 이전에 보관했던 프로세스 상태를 복구하는 과정 Context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들의 집합 1. Code 2. Data 3. Stack 4. Heap Context Saving 현재 프로세스의 등록된 Context를 저장하는 작업 Context Restoring 등록된 Context를 프로세스로 복구하는 작업 Context Switch 발생이유 - 인터럽트..
프로세스 vs 스레드 프로세스: 프로그램을 메모리 상에서 실행 중인 작업 스레드: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여러 흐름 단위 1.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마다 최소 1개의 스레드를 소유한다. 2. 프로세스는 각각의 별도의 주소공간의 할당(독립적)되는 반면, 스레드는 Stack만 따로 할당을 받고, 나머지 영역들을 서로 공유한다. 가. 프로세스가 할당받는 주소공간 내 1) Code: 코드 자체를 구성하는 메모리 영역 2) Data: 전역변수, 정적변수, 배열 등 (초기화된 데이터) 3) Heap: 동적 할당시 사용 (new()) 4) Stack: 지역변수, 매개변수, 리턴 값 (임시메모리 영역) 멀티 프로세스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CPU를 장착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프로세스는 독립된..
운영체제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들의 모임이다. 운영체제의 구조 1. 단일 구조 - 장점: 커널 내 모듈간 직접 통신 - 단점: 커널의 거대화 -> 오류 및 버그, 추가기능 구현 등 유지보수가 어려움 2. 계층 구조 - 장점: 모듈화, 설계 및 구현의 단순화 - 단점: 단일 구조 대비 성능이 저하 운영체제의 구분 1. 단일 사용자 시스템 가. Windows 나. Android 2. 다중 사용자 시스템 가. Unix 나. Linux 운영체제의 종류 1. 단일 작업 시스템(Single-Tasking System) 하나의 프로그램 실행을 마친 뒤에 다른 프로그램 생성 가. DOS 나. CMD..
Santos
'CS(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