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Computer science)

시스템버스 하드웨어들이 데이터 및 신호를 주고 받는 물리적인 통로 시스템 버스의 종류 1. 데이터 버스 가. 중앙처리장치와 기타장치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이다. 나.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명령어를 중앙처리장치로 보내거나 중앙처리장치의 연산결과를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로 보내는 "양방향" 버스이다. 2. 주소버스 가. 데이터를 정확히 실어나르기 위해서는 기억장치의 "주소"를 정해주어야 한다. 나.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로 기억장치주소들을 전달하는 통로이며 "단방향" 버스이다. 3. 제어버스 가. 주소버스와 데이터버스는 모든 장치에 공유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할 수단이 필요하다. 나. 제어버스는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이며, "양방향" 버스이다. 시스..
*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 간추려서 정리하였습니다.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시스템버스는 각각의 큰 주제를 만들어 따로 기록할 예정입니다. 컴퓨터 구성 1. 하드웨어 가. 중앙처리장치(CPU) 나. 기억장치 1) 주 기억장치(RAM) 2) 보조 기억장치(HDD, SSD, DISK 등) 다. 입출력 장치 1) 마우스 2) 프린터 3) 키보드 2. 소프트웨어 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1) 운영체제 2) 컴파일러 나. 응용 소프트웨어 1) 워드프로세서 2) 스프레드시트 하드웨어 하드웨어: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스템 버스를 통해 데이터 및 주소 등을 서로 전달한다. 1. 중앙처리장치(CPU)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이진검색트리(BST) 정의 1. 이진 탐색(binary search)와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결합한 자료구조이다. * 이진 탐색: 탐색 범위를 두 부분으로 분할 하면서 찾는 자료구조, 삽입 및 삭제는 불가능, 보통 배열로 구성 2. 이진 탐색의 효율적인 탐색능력을 유지하면서, 자료 삽입(Insert)과 삭제(Delete)를 가능하게끔 고안되었다. 이진검색트리 특징 1. 트리의 모양은 상관 없으며 이진트리여야 한다. 2. 부모노드의 값을 중심으로 왼쪽 자식 트리의 값은 작고, 오른쪽 자식 트리의 값은 커야한다. 3. 중복된 노드는 없어야 한다. 4. 이진 탐색트리는 중위 순회를 통해 순회를 진행한다. -> 이진 검색트리 내에 있는 모든 값들을 정렬된 순서대로 읽을 수 있다. 중위 순회 결과..
목차 1. 선택정렬 2. 거품정렬 3. 삽입정렬 4. 퀵 정렬 5. 병합 정렬 6. 힙 정렬 안정 정렬과 불안정 정렬 1. 안정 정렬: 동일한 값에 대해 기존의 순서가 유지되는 정렬 방식 ex) caBb -> aBbc (여기서 B==b 같은 값이다.) 2. 불안정 정렬: 동일한 값에 대해 기존의 순서가 유지되지 않는 정렬 방식 ex) caBb -> abBc (여기서 B==b 같은 값이다.) 선택정렬 - 불안정 정렬 1. 특징 가. 버블 정렬과 유사한 알고리즘이다 나. 해당 자리를 선택하고 그 자리에 오는 값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1) 주어진 배열 중에 최소값을 찾는다. 2) 그 값을 맨 앞에 위치한 값과 교체한다. 3) 맨 처음 위치를 뺀 나머지 배열을 같은 방법으로 교체한다. 다. 구현이 매우 간단하며..
Santos
'CS(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