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장치 처리장치는 산술/논리연산장치(ALU)와 레지스터, 내부버스로 구성되어있다. 산술/논리연산장치산술연산, 논리연산, 비트 연산등의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레지스터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연산의 결과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본적인 연산을 마이크로 연산이라고 한다. 마이크로 연산 레지스터나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 이루어지는 연산이다. 마이크로 연산은 전송, 산술, 논리, 시프트 이렇게 4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 1. 전송 마이크로 연산 한 레지스터에서 다른 레지스터로 2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산 레지스터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 프로그램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많이 저장할 수 있으므로 주기억장치의..
병렬처리 병렬처리는 컴퓨터 시스템의 계산속도 향상을 목적으로 동시 데이터 처리기능을 제공하는 광법위한 개념의 기술을 의미한다. 파이프라인- 병렬처리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파이프 라인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서브프로세스로 나누어 각 서브 프로세스가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취급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이는 명령어 사이클에서 적용되는데, 여러개의 명령어가 중첩되어 실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수행 단계별로 2단계, 4단계, 6단계 명령어 파이프라인이 있다. - 이론적으로는 파이프 라인에서 명령어 사이클을 여러단계로 나눌수록 동시에 많은 명령어가 처리되지만, 적어도 파이프라인을 설계할 시 명령어 사이클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고려해서 설계해야 한다. 명령..
중앙처리장치(CPU) 1.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서 처리하고, 명령어의 수행순서를 제어한다. 2. 크게 연산(처리)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로 구성되어있다. 3.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인출하고, 인출된 명령어를 해독하여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면서 기억장치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필요한 기억장치 주소와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연산(처리)장치 1.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2.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오고, 연산결과를 다시 레지스터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3. 산술/논리 연산장치, 레지스터 세트(범용 레지스터, 특수 레지스터), 내부버스로 구성되어 있다.제어장치 1.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2. 주기억..
Starvation vs Deadlock - 발생위치가 다름 - 발생 가능성의 확률이 다름 * Starvation: Process가 자원을 얻을 수 있는 즉,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 * Deadlock: Process가 자원을 얻을 수 있는 확률 0% Deadlock(교착상태) - Process가 발생가능성이 없는 이벤트를 기다리는 경우, 또는 자원을 얻지 못해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 현재 서로 원하는 자원이 상대방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어서 두 프로세스가 무한정 Wait 상태에 빠진 상태를 말한다. 1. Process-1이 자원 1을 얻음 / Process-2가 자원 2를 얻음 2. Process-1은 자원 2를 기다림 / Process-2는 자원 1을 기다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