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Computer science)

동기화 공유자원 또는 데이터가 있을 때, 여러개의 프로세스들이 서로 동작을 맞추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1. 동기화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Shared data (공유된 데이터): 여러 프로세스들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Critical section (임계영역): 공유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하는 코드 영역 Mutual exclusion (상호배제):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공유데이터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것 Race condition (경쟁조건): 공유된 자원의 둘 이상의 입력 또는 조작의 순서 등이 결과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자료의 일관성을 침해한다. * 다량의 프로세스들은 자원들을 공유하게 되는데, 이들을 접근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Race condition(경쟁조건..
입출력 시스템 컴퓨터는 외부 데이터를 중앙처리치나 기억장치로 읽어들이기도 하고, 외부로 출력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입출력 시스템에 의해 처리 된다. 입출력 시스템의 구성요소 아래와 같이 입출력 시스템은 5개의 구성요소로 나누어져 있다. 1. 입출력장치 2. 입출력장치 제어기 3.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 4. 입출력 버스 5. 입출력 제어기 1. 입출력 장치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가. 입출력 장치의 특징 -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 출력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이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은 출력장치의 사용에서 종료된다. 나. 입출력 장치의 분류 1) 입력장치 - 키보드: 주로 문자를 입력하..
기억장치 1. 기억장치란 컴퓨터에서 처리하려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당장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공급 할 수 있도록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2. 기억장치의 종류 가. 주기억장치: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 ROM) 나. 보조기억장치: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리지만, 자료를 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HDD, SSD) 3. 기억장치계층 간의 관계 블록(block): 두 계층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 (회색으로 칠해져 있는 곳) 히트(Hit): 중앙처리장치가 요구하는 데이터가 상위계층 블록에 존재하는 상태. 미스(Miss): 상위계층에서 찾을 수 없는 상태, 미스(Miss)인 경우에는 요구한 데이터..
폰 노이만 구조 - 폰 노이만이 고안한 내장 메모리 순차처리 방식이다. - 데이터 메모리와 프로그램 메모리가 구분되어 있지 않아 하나의 버스를 가지고 있는 구조를 말한다. - CPU는 메모리로부터 명령을 읽고,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데이터를 읽고 쓰기도 하는데, 명령과 데이터는 같은 신호 버스와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에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폰 노이만 구조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그 이전의 컴퓨터들보다 범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 CPU, 메모리, 프로그램 구조를 갖는 프로그램 내장방식 컴퓨터 아이디어를 처음 제시하였고, 그 이후에 나온 컴퓨터는 대부분 폰 노이만의 설계를 기본 구조로 한다. 폰 노이만 구조의 단점 - 병목현상 - 기억장소의 지연현상을 일컫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