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장배경 웹 어플리케이션이 점점 더 방대해지는 패러다임속에서 살아가면서 코드의 양도 동시에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작성하는 코드들에 대한 정리가 필요해졌고, 클린 코드라는 용어가 나올정도로 코드의 가독성은 개발자들 사이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코드가 읽기 쉬워지면 더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 개발자끼리의 코드 해석 또한 빠르게 공유할 수 있는 전제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여러가지 방법론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BEM(Block Element Modifier) CSS 구조를 개선시키기 위한 CSS 개발 방법론 중에 하나인 방법론이다. 이는 문제의 요소에 대한 근거하는 클래스의 이름을 짓는데 구조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오직 클래스명에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클래스..